[트럼프 집권 폭풍] 제1막: 복귀의 충격 – '미 우선주의'의 전면화

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복귀는 국제사회에 예상 이상의 강도 높은 충격을 안기며 기존 국제질서를 재편하고 있다. 트럼프 1기 집권 당시 내세운 '미국 우선주의'는 2기 집권에서 한층 더 강화되며 일방적인 정책으로 세계 각국을 압박하고 있다. 이는 경제뿐 아니라 안보와 외교 분야에서도 미국중심주의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트럼프의 복귀 이후 미 우선주의가 전면화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불법 이민, 마약 유입, 불공정 무역 등을 이유로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겨냥한 보편적 관세 부과를 단행하며 첫 타격을 가했다. 북중미 국가들은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반격했지만, 트럼프 대통령과의 물밑 협상 끝에 국경 단속 강화 등 미국이 원하는 일부 양보를 통해 확전을 피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 역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보복 관세와 전략 광물 수출 통제, 미국 기업 대상 반독점법 조사 등 다양한 카드를 꺼내들며 단호히 맞섰다. 그러나 경제 회복이 더딘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전쟁 장기화에 부담을 느끼며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양면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경제 압박이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국제 무역의 규칙과 틀을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트럼프 대통령은 단순히 이웃 국가나 중국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 주요 산업을 대상으로 압박을 확대했다.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글로벌 산업에 추가 관세를 예고하며 사실상 전 세계를 '미국중심 경제질서'로 재편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

EU와의 무역 갈등은 이를 극명히 보여주는 사례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전쟁을 통해 EU를 압박하면서도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전술로 '예고→발표→시행 유예'라는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EU는 자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대응 조치와 함께,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려는 외교적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EU 회원국에서는 중국과의 연대를 강화해 대미 공동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내부적으로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중심주의는 경제적 압박을 넘어 안보와 외교 분야에서도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미국의 일방적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연대를 모색하고 있지만, 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 등 반서방 국가들은 미국의 압박에 맞서 외교적 밀착을 강화하며 새로운 축을 형성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며 미중 갈등 속에서 지정학적 균형을 모색하고 있다. 중동의 아랍 국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구상'에 충격을 받고 공동 대응을 논의하며 자국의 이익을 방어하려 하고 있다.

 

트럼프발 충격은 단순히 경제와 안보 문제를 넘어 국제 질서의 근본적인 재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각국은 자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열을 정비하고 있지만, 미국의 경제·외교적 압박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미국 중심의 질서를 구축하려는 의도를 명확히 하고 있는 만큼, 국제사회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며 새로운 균형점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단기적인 갈등을 넘어 국제질서와 외교 패러다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며, 세계 각국이 선택과 대응을 강요받는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