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탄핵에도 각성 없는 국민의힘, 역사의 경고를 무시하나
- 오피니언/이병산의 칼럼세상
- 2025. 4. 17. 22:32
이병산 칼럼세상 스물세 번째 이야기
대한민국 헌정사에 또 한 번 비극적 장면이 기록됐다. 현직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시도에 이어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인용하며 윤석열 대통령은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국민의힘은 여전히 고개를 숙이지 않고 있다. 외려 책임 회피와 내부 권력 다툼에 몰두한 모습만 연일 보여주고 있다.
정권이 무너지고, 대통령이 파면되는 초유의 사태 앞에서도 국민의힘은 집단적 반성이나 성찰의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책임 있는 정치세력이라면 국민 앞에 머리 숙이고 “잘못했다”고 고백했어야 한다. 그러나 이 당은 오히려 “정치적 탄핵”이라며 사법부의 결정을 공격하고, 지지층 결집을 시도하는 듯한 언동을 서슴지 않고 있다.
탄핵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의 심의와, 헌법 수호기관인 헌재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진 일이다. 그 무게는 개인 윤석열에게만 향한 것이 아니다. 그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한 국민의힘, 그를 감싸고 독주를 방조한 세력 전체에 국민은 철퇴를 내린 것이다. 그런데도 당의 지도부와 의원들은 “우린 몰랐다”, “개인의 일탈”이라는 구태의연한 해명에 기대고 있다.
탄핵은 헌법을 위반한 행위에 대한 최후의 심판이다. 그것이 단순한 정쟁이나 여야 대결로 축소된다면, 우리 정치의 수준은 다시 구시대로 후퇴하고 만다. 국민은 계엄령과 같은 위헌적 발상을 묵과하지 않았고, 그것이 결국 대통령 탄핵이라는 역사적 판단으로 이어졌다. 이 모든 사태는 무능과 오만, 반성과 책임 회피의 합작품이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전면적인 반성과 쇄신에 나서야 한다. 지도부는 즉각 총사퇴하고, 외부 인사를 포함한 비상체제를 구성해 국민 앞에 사죄하는 것이 먼저다. 그렇지 않다면 다가오는 총선과 대선에서 국민은 또다시 준엄한 심판을 내릴 것이다. 정당은 스스로 변하지 않으면, 민심이 그 자리를 폐기한다는 진실을 더 늦기 전에 깨달아야 한다.
'오피니언 > 이병산의 칼럼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경북 산불, 끝없이 타들어가는 산과 삶 (0) | 2025.03.30 |
---|---|
21. 서울서부지법 점거 폭동,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폭력적 도전이었다 (0) | 2025.01.20 |
20. 을사년은 다르다 (5) | 2025.01.01 |
19. 남부 지방 역대급 폭우, 하지만 이번에도 수도권 반응은 잠잠 (0) | 2024.09.22 |
18. 산천어 축제 반대, 지역사회 생각 않나 (1) | 2024.01.14 |